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3

융자가 많은 집에 월세를 들어가도 안전할까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월세를 알아보시는 분들이라면 한 번쯤 겪게 되는 고민을 함께 나눠보려고 합니다."집은 마음에 드는데, 등기부등본을 보니 융자가 많아요.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면 어쩌죠?"이런 걱정, 특히나 사회초년생이나 자취를 시작하는 분들이 많이 하시죠?오늘은 융자가 많은 집에 소액의 보증금으로 월세를 계약할 시 보증금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월세 계약 시 집에 융자가 많다면? 💡 결론 먼저 말씀드릴게요! 👉 보증금이 소액인 경우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소액임차보증금 대상이 되기 때문에 안전합니다!👉 단, 해당 주택이 '다가구주택'이 아니라면! 📌 소액임차보증금이란?소액임차보증금이란,경매나 공매로 집이 넘어가도 일정 금액까지는 세입자가 가장 먼저 보증금을.. 2025. 4. 6.
국내 주식도 ISA에 담는 게 좋을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ISA 계좌에 국내주식을 담는 것이 유리한지 알아보고 ISA 계좌의 세제 혜택과 국내 주식 / ETF의 투자 전략에 대해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어렵게 느껴지지 않도록 핵심 포인트만 알고 가자구요~  📌 ISA란?ISA(Individual Savings Account)는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라고 불리는 금융상품으로, 가입 후 3년 이상 유지하면 수익에 대해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일종의 세금우대 통장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ISA의 세제 혜택 요약유형비과세 한도초과분 과세일반형200만원까지 비과세9.9% 과세서민형·청년형400만원까지 비과세9.9% 과세 ※ ISA 계좌 내 수익이 위 한도까지는 세금 0원! 📊 국내 주식 vs 미국 ETF, 세금은 어떻게 다를까?  ✅국내 상장.. 2025. 4. 2.
전세 만기 전 새집 구매 시 전입신고와 전세보증금 회수 안녕하세요 전세 만기 전 새 집을 구매하는 경우 여러가지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 중 새 아파트를 분양받아 매매 계약 잔금을 치를때 잔금 대출 조건상 새 아파트으로의 전입신고가 필수인 경우가 있는데요. 전세금을 아직 회수하지 못한 상황에서 새 집으로 전입신고를 할 경우 전세금을 못 돌려받는건 아닌지 불안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전세 만기 전 새 집으로 이사를 하게 될 경우 전입신고를 언제 해야 할지 또 안전하게 전세보증금을 회수하는 방법은 어떤것이 있을지 한번 알아보려고 합니다.   🧷 새 집으로 전입신고를 미리 해도 괜찮을까?  ✔ 핵심 포인트: 전세금 보호를 위한 전입신고 유지전세보증금을 안전하게 돌려받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전입신고 유지입니다. 전세 세입자의 권리는 아래의 두 가지.. 2025. 4. 1.
어떻게 갱신하는 게 유리할까? 묵시적 갱신 vs 계약갱신청구권의 차이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월세 재계약 시 묵시적 갱신과 계약갱신청구권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 묵시적 갱신이란? '묵시적 갱신'이란, 임대차 계약이 끝나기 전까지 집주인과 세입자 간에 아무런 말도 오가지 않으면 자동으로 계약이 연장되는 방식을 말합니다. ✅ 묵시적 갱신의 조건계약 만료 6개월 전부터 2개월 전 사이보증금, 월세 인상 여부, 계속 거주 여부 등 어떤 대화도 없어야 성립즉, "계속 사실 건가요?" "월세 또는 보증금을 조금 올릴게요" 같은 말만 오가도, 묵시적 갱신이 아닌 합의에 의한 연장이 됩니다. 🧾 합의에 의한 연장은 불리할 수 있어요묵시적 갱신이 아닌, 대화를 통해 합의로 계약을 연장했다면?2년 동안 계약을 반드시 유지해야 합니다.세입자도 도중에 마음대로 나갈수 없고집주인도.. 2025. 3.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