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0 어떻게 갱신하는 게 유리할까? 묵시적 갱신 vs 계약갱신청구권의 차이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월세 재계약 시 묵시적 갱신과 계약갱신청구권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 묵시적 갱신이란? '묵시적 갱신'이란, 임대차 계약이 끝나기 전까지 집주인과 세입자 간에 아무런 말도 오가지 않으면 자동으로 계약이 연장되는 방식을 말합니다. ✅ 묵시적 갱신의 조건계약 만료 6개월 전부터 2개월 전 사이보증금, 월세 인상 여부, 계속 거주 여부 등 어떤 대화도 없어야 성립즉, "계속 사실 건가요?" "월세 또는 보증금을 조금 올릴게요" 같은 말만 오가도, 묵시적 갱신이 아닌 합의에 의한 연장이 됩니다. 🧾 합의에 의한 연장은 불리할 수 있어요묵시적 갱신이 아닌, 대화를 통해 합의로 계약을 연장했다면?2년 동안 계약을 반드시 유지해야 합니다.세입자도 도중에 마음대로 나갈수 없고집주인도.. 2025. 3. 30. 미국 장단기 금리차 의미? 확인하고 투자에 활용하는 방법 미국 장단기 금리차란?● 미국 국채 10년물(장기) 금리에서 미국 국채 2년물(단기) 금리를 뺀 수치● 일반적으로 오랜 시간 돈을 투자하게 되는 장기물 금리가 단기물 금리보다 높은 것이 정상● 단기물 금리가 더 높은 경우는 비정상이며 시장참여자들이 미래의 경제 상황을 긍정적으로 보지 않는다는 의미 경제 관련 뉴스를 보다 보면 '미국 장단기 금리차 역전'이라는 문구를 가끔씩 접하게 되는데요. 우선 여기서 말하는 장단기 금리차란 미국 정부에서 발행하는 채권 중 만기 10년짜리(장기)국채의 금리(이자)와 만기 2년짜리(단기)국채 금리(이자)의 차이를 말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만기가 길수록 채권의 수익률(금리, 이자)이 높아지는 것이 정상입니다. 이것은 우리가 누군가에게 이자를 받고 돈을 꿔준다고 생각하면 이.. 2024. 6. 17.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