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에 도움

국내 주식도 ISA에 담는 게 좋을까?

by NewsCrafts 2025. 4. 2.

 

안녕하세요! 오늘은 ISA 계좌에 국내주식을 담는 것이 유리한지 알아보고 ISA 계좌의 세제 혜택과 국내 주식 / ETF의 투자 전략에 대해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어렵게 느껴지지 않도록 핵심 포인트만 알고 가자구요~

 

📌 ISA란?

ISA(Individual Savings Account)는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라고 불리는 금융상품으로, 가입 후 3년 이상 유지하면 수익에 대해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일종의 세금우대 통장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ISA의 세제 혜택 요약

유형 비과세 한도 초과분 과세
일반형 200만원까지 비과세 9.9% 과세
서민형·청년형 400만원까지 비과세 9.9% 과세

 

※ ISA 계좌 내 수익이 위 한도까지는 세금 0원!

 

📊 국내 주식 vs 미국 ETF, 세금은 어떻게 다를까?

 

 

✅국내 상장 주식

  • 매매 차익(싸게 사서 비싸게 판 수익)은 세금 없음
  • 단, 증권거래세는 0.23~0.25% 부과
  • 국내 ETF는 주식처럼 취급되기 때문에 ETF 역시 큰 메리트가 없음
  • 단 배당소득에는 절세효과 (ETF도 동일)

)✅미국 ETF (예: QQQ, spy 등)

  • 매매 차익은 배당소득으로 분류됨
  • 기본적으로 15.4% 세금 부과
  • 하지만 ISA 안에서 거래하면 비과세 한도 내 세금 없음!

 

✅ 요약: ISA에 담으면 세제 혜택 확실

 

🤔 그렇다면 국내 주식을 ISA에 담으면 거래세도 안 낼 수 있을까?

아쉽지만 ISA 계좌는 금융소득에 대한 세제 혜택만 제공하므로 증권거래세는 일반계좌나 ISA 계좌 모두 똑같이 부과됩니다.

 

✔ ISA로 피할 수 있는 세금
→ 이자소득세, 배당소득세 등

❌ ISA로 피할 수 없는 세금
→ 증권거래세

 

🔎 그럼 국내 주식은 ISA에 담는 게 손해?

국내 상장 주식은 애초에 양도차익이 비과세이기 때문에 ISA에 담아봤자 특별한 혜택이 없습니다. 게다가 ISA는 연간 납입 한도가 정해져 있고, 이 한도를 쓰는 만큼 다른 투자 기회를 줄이는 셈이기 때문에 차라리 세금 혜택이 큰 금융상품을 우선적으로 담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 ISA 계좌, 이렇게 활용해보세요

투자상품 담을 곳 이유
미국 ETF ISA 수익에 배당소득세가 붙기 때문에 절세 효과가 큼
국내 주식(ETF포함) 일반계좌 어차피 양도차익에 세금 없음, ISA 한도 아껴야 함
예금·채권·펀드 ISA 수익에 세금이 붙는 구조, 비과세 혜택이 높음

 

 

📌 마무리 정리

  • ISA 계좌는 세금 우대 혜택이 있는 절세용 통장입니다.
  • 국내 주식(국내 ETF 포함)은 어차피 양도소득세가 없기 때문에 ISA에 담는 메리트가 없음
  • 미국 ETF, 펀드, 채권처럼 수익에 세금이 부과되는 상품을 ISA에 우선 담기!
  • 증권거래세는 ISA 계좌에서도 동일하게 부과되므로 피할 수 없음

 

📍앞으로 투자금액이 커지면 세금 차이도 커질 수 있기 때문에 지금부터 잘 계획해서 ISA 계좌를 똑똑하게 활용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