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ISA 계좌에 국내주식을 담는 것이 유리한지 알아보고 ISA 계좌의 세제 혜택과 국내 주식 / ETF의 투자 전략에 대해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어렵게 느껴지지 않도록 핵심 포인트만 알고 가자구요~
📌 ISA란?
ISA(Individual Savings Account)는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라고 불리는 금융상품으로, 가입 후 3년 이상 유지하면 수익에 대해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일종의 세금우대 통장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ISA의 세제 혜택 요약
유형 | 비과세 한도 | 초과분 과세 |
일반형 | 200만원까지 비과세 | 9.9% 과세 |
서민형·청년형 | 400만원까지 비과세 | 9.9% 과세 |
※ ISA 계좌 내 수익이 위 한도까지는 세금 0원!
📊 국내 주식 vs 미국 ETF, 세금은 어떻게 다를까?
✅국내 상장 주식
- 매매 차익(싸게 사서 비싸게 판 수익)은 세금 없음
- 단, 증권거래세는 0.23~0.25% 부과
- 국내 ETF는 주식처럼 취급되기 때문에 ETF 역시 큰 메리트가 없음
- 단 배당소득에는 절세효과 (ETF도 동일)
)✅미국 ETF (예: QQQ, spy 등)
- 매매 차익은 배당소득으로 분류됨
- 기본적으로 15.4% 세금 부과
- 하지만 ISA 안에서 거래하면 비과세 한도 내 세금 없음!
✅ 요약: ISA에 담으면 세제 혜택 확실
🤔 그렇다면 국내 주식을 ISA에 담으면 거래세도 안 낼 수 있을까?
아쉽지만 ISA 계좌는 금융소득에 대한 세제 혜택만 제공하므로 증권거래세는 일반계좌나 ISA 계좌 모두 똑같이 부과됩니다.
✔ ISA로 피할 수 있는 세금
→ 이자소득세, 배당소득세 등
❌ ISA로 피할 수 없는 세금
→ 증권거래세
🔎 그럼 국내 주식은 ISA에 담는 게 손해?
국내 상장 주식은 애초에 양도차익이 비과세이기 때문에 ISA에 담아봤자 특별한 혜택이 없습니다. 게다가 ISA는 연간 납입 한도가 정해져 있고, 이 한도를 쓰는 만큼 다른 투자 기회를 줄이는 셈이기 때문에 차라리 세금 혜택이 큰 금융상품을 우선적으로 담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 ISA 계좌, 이렇게 활용해보세요
투자상품 | 담을 곳 | 이유 |
미국 ETF | ISA | 수익에 배당소득세가 붙기 때문에 절세 효과가 큼 |
국내 주식(ETF포함) | 일반계좌 | 어차피 양도차익에 세금 없음, ISA 한도 아껴야 함 |
예금·채권·펀드 | ISA | 수익에 세금이 붙는 구조, 비과세 혜택이 높음 |
📌 마무리 정리
- ISA 계좌는 세금 우대 혜택이 있는 절세용 통장입니다.
- 국내 주식(국내 ETF 포함)은 어차피 양도소득세가 없기 때문에 ISA에 담는 메리트가 없음
- 미국 ETF, 펀드, 채권처럼 수익에 세금이 부과되는 상품을 ISA에 우선 담기!
- 증권거래세는 ISA 계좌에서도 동일하게 부과되므로 피할 수 없음
📍앞으로 투자금액이 커지면 세금 차이도 커질 수 있기 때문에 지금부터 잘 계획해서 ISA 계좌를 똑똑하게 활용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주식에 도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 주식하면 세금은 언제, 얼마나 낼까? (0) | 2025.04.07 |
---|---|
미국 장단기 금리차 의미? 확인하고 투자에 활용하는 방법 (0) | 2024.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