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해외 주식 투자를 처음하시는 분들이 많이 궁금해 하시는 해외 주식 투자에서 꼭 알아야 할 세금에 대하여 쉽게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해외 주식하면 세금은 언제, 얼마나 낼까?
많은 분들이 국내 주식과는 다르게 해외 주식에서 발생하는 수익에 대해 세금이 부과 된다는 사실은 알고 계실텐데요.
수익의 종류에 따라서 아래의 두 가지의 세금이 부과됩니다.
- ✅ 배당소득세 – 배당금 받을 때 부과
- ✅ 양도소득세 – 주식을 팔아서 수익이 생겼을 때 부과
국내 주식은 양도소득세가 대부분 없지만,
해외 주식은 배당금에도, 매매 차익에도 세금이 붙는다는 점! 꼭 기억하세요.
1️⃣ 해외 주식 배당소득세 - 배당금 받을 때 세금이 빠져요
배당소득세는 해외 기업이 배당금을 줄 때 자동으로 원천징수되는 구조입니다.
국가 | 현지 배당소득세율 | 우리나라 추가 과세 여부 |
US 미국 | 15% | ❌ 없음 (이미 충분히 과세됨) |
CN 중국 | 10% | ✅ 4.4% 추가로 과세 (지방세 포함) |
💡 예시
- 미국 배당금 100달러 받으면 → 15달러 미국에서 바로 떼고
- 한국에선 추가 과세 없음 → 나머지 85달러 수령
- 중국 배당금 100달러 받으면 → 10달러 중국에서 떼고
- 한국에선 추가로 4.4달러 과세됨 → 약 85.6달러 수령
📌 복잡해 보여도 걱정 마세요!
모든 계산과 세금 납부는 증권사가 자동으로 처리해 줍니다.
2️⃣ 해외 주식 양도소득세 – 팔아서 이익 보면 납부 대상!
해외 주식을 매도해서 차익이 생기면 양도소득세가 부과됩니다.
조건 | 내용 |
과세 기준 | 1년간 순이익(수익 - 손실) |
기본 공제 | 연 250만원까지는 세금 없음 |
과세 방식 | 초과분의 22% (지방세 포함) |
💡 예시
- 2025년 한 해 동안 해외 주식 수익이 400만원
- → 250만원 공제 후, 150만원에 대해 22% 과세
- 약 33만원 세금 납부
📌 이 세금은 매년 5월 종합소득세 신고 시 직접 납부해야 합니다.
(또는 연말에 증권사가 안내 문자를 보내기도 해요)
✅ 해외 주식 양도소득세 절세 방법 3가지 전략
① 배우자에게 증여하기
- 주식을 배우자에게 증여한 후
- 증여받은 배우자가 나중에 주가 상승 전에 매도 → 세금 거의 없이 처분 가능
- 단, 증여세는 10년 기준 배우자 6억원까지만 면세
② 공제 한도 나눠서 분할 매도
- 한 해 주식 매매차익이 500만원 예상된다면
- 올해 250만원, 내년에 250만원 나눠서 매도 → 세금 면제
- 단, 매도 기간에 따른 주가의 변동은 리스크
③ 손실 난 주식 함께 매도
- A주식 +500만원
- B주식 -300만원 손해일 경우 → 함께 매도하면 전체 차익은 200만원으로 줄어 세금 없음
※ 양도세는 전체 수익 – 전체 손실 기준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 손해 본 주식 매도도 전략적으로 활용해야 합니다.
🧾 요약 정리
항목 | 설명 |
📌 배당소득세 | 국가별로 다름, 자동 원천징수 |
📌 양도소득세 | 연 250만원 초과 시 22% 과세 (매년 5월 신고) |
💡 절세전략 | 증여, 분할매도, 손실상계 등 활용 |
💬 마무리하며
해외 주식 투자는 매력적인 수단이지만, 국내 주식과는 다른 세금 체계를 꼭 이해하고 접근해야 합니다.
하지만 배당소득세는 자동으로 차감되기 때문에 신경쓰지 않아도 되고 양도소득세는 250만원까지 공제되며 다양한 방법으로 절세가 가능하다는 점만 기억하신다면 여러분들의 해외 주식 투자는 훨씬 똑똑해질 수 있습니다. 😊
'주식에 도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주식도 ISA에 담는 게 좋을까? (0) | 2025.04.02 |
---|---|
미국 장단기 금리차 의미? 확인하고 투자에 활용하는 방법 (0) | 2024.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