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회사에 합격하고 기쁨도 잠시, 근로계약서를 작성하던 중 갑자기 신원보증서를 제출하라는 이야기를 듣고 당황하신 분 계신가요?
요즘 같은 시대에 이런 걸 외 요구하는지 / 보증인은 어떤 책임을 지게 되는 지 / 부모님께 말씀드리기도 조심스러운데...
이러한 고민을 하고 계시다면 아래의 내용을 꼭 읽어보세요.
금융권 입사 준비생이라면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할 핵심 내용을 쉽게 풀어드립니다.
📌신원보증서란?
신원보증서는 회사가 직원을 채용할 때, 직원의 신뢰도와 책임을 제3자가 보증해주는 문서입니다. 쉽게 말해, 직원이 회사에 피해를 끼쳤을 경우, 그 손해를 보증인이 일정 부분 책임질 수 있다는 약속입니다.
🤔 왜 요구할까요?
금융회사에서는 직원이 금전적 사고(횡령, 배임 등)를 일으킬 경우, 피해가 클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거나 만약의 상황에 대비해 '보증인'을 요구하는 관행이 여전히 일부 기업에 남아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 보증서 작성 시 필요한 서류
- 보증인 신원보증서
- 인감증명서
- 재산세 3만원 이상 납부 증명서 또는 납세증명서
보통 부모님이나 가까운 친척이 보증인이 되지만, 부담이 크고 책임이 생길 수 있다는 점에서 꺼려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 보증인이 부담해야 할 책임은?
실제 피해가 발생했을 때, 보증인이 손해를 배상해야 할 가능성도 있어요. 다만 보통은 직원이 책임을 지고, 보증인에게까지 청구되는 사례는 드물지만, 가능성은 존재합니다.
✅ 요즘도 흔한가요?
최근에는 이런 관행을 지양하는 추세입니다. 공공기관이나 대기업에서는 거의 요구하지 않고, 일부 중소 금융회사나 사기업에서만 남아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 어떻게 대응하면 좋을까요?
- 회사에 정중히 문의해보세요.
→ “혹시 다른 방식으로 대체 가능한가요?”라고요. - 보험 가입으로 대체할 수 있는지도 알아보세요.
→ 일부 기업은 ‘신원보증보험’으로 대체 가능합니다. - 부모님과 솔직하게 상의하세요.
→ 서류가 필요한 이유를 설명드리면 이해해주실 가능성이 높아요.
✍️ 마무리하며
취업이라는 큰 관문을 통과한 뒤 ‘신원보증서’ 때문에 마음이 무거워지는 분들, 많으시죠?
요즘 시대에 맞지 않는 제도라는 인식도 많지만, 아직은 일부 기업에서 요구되기도 해요.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서류의 의미와 책임을 충분히 이해한 뒤 신중하게 판단하시는 걸 추천드려요!
'생활에 도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아휴직 중 국민연금과 개인연금, 어떻게 관리해야 유리할까요? (0) | 2025.04.22 |
---|---|
미성년 자녀 청약통장은 꼭 25만 원씩 넣어야 하나요? (0) | 2025.04.18 |
60세 이후 국민연금, 더 내는 게 이득일까? (0) | 2025.04.14 |
유주택자 신혼부부 청약통장, 누구 걸 유지해야 할까? (0) | 2025.04.11 |
주택담보대출 100% vs 마이너스 통장 병행? (0) | 2025.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