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에 도움

미성년 자녀 청약통장은 꼭 25만 원씩 넣어야 하나요?

by NewsCrafts 2025. 4. 18.

안녕하세요 오늘은 아이를 가진 부모님들이 한번쯤 고민하게 되는 미성년 자녀 청약통장은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2024년 청약통장 납입 인정금액 상향!

 

기존에는 주택청약 종합저축에 매달 10만원까지만 청약 순위 산정시 인정되었지만, 👉 2024년 9월부터는 25만 원까지 인정됩니다! 그렇다면 지금부터 미성년 자녀들 통장에 매달 25만원씩 넣어야 할까요? 자녀가 많은 부모님 입장에선 부담이 만만치 않죠.

 

👶 미성년 자녀 청약통장은 꼭 25만 원씩 넣어야 하나요?

정답은 NO!

  • 미성년자가 납입한 청약총장 금액은 최대 5년(60회)까지만 인정됩니다.
  • 즉, 몇 살부터 넣든 60회까지만 유효하다는 뜻이죠.
  • 그래서 너무 일찍부터 넣을 필요는없습니다.

📌 14살 이후부터 월 25만 원씩 5년간 납입하면 인정 기준을 채울 수 있어요.

👉 따라서 자녀가 아직 어리다면 굳이 지금부터 넣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 납입금액 변경은 자유롭다?

 

네! 청약통장은 월 2만원~50만원 사이에서 자유롭게 설정 가능합니다. 9월전까지는 월 25만원을 넣더라도 10만원까지만 인정, 9월부터는 25만원 전액 인정됩니다.

 

🧐 하지만, 납입금액 많이 넣는다고 무조건 당첨?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공공분양 일반공급에서는 납입 인정 금액이 많을수록 유리하지만, 문제는 예전부터 꾸준히 넣어 온 고수(?)드리 많다는 점!

서울 기준우론 커트라인이 2천만원대까지 올라갔던 적도 있어요.

👉 즉, 뒤늦게 열심히 넣어도 현실적으로 경쟁에서 밀릴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 그래서 어떻게 해야 할까요?

자녀가 아직 어릴 땐 

✔️ 통장만 만들어두고

✔️ 14세 이후부터 25만 원씩 60회 납입하는 전략이 현실적이고 효율적입니다.

또한,

  • 특별공급 요건을 살펴보거나
  • 민영주택 청약을 고려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마무리하며

💡 무작정 많은 금액을 넣는다고 청약이 유리해지는 시대는 지났습니다.

오히려 자녀의 나이와 조건에 맞춰 전략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더 중요하죠!

 

부담스럽게 청약 통장에 25만원씩 넣기보단, 상황에 맞는 전략으로 미래의 기회를 준비해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