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에 도움

60세 이후 국민연금, 더 내는 게 이득일까?

by NewsCrafts 2025. 4. 14.

 

안녕하세요 오늘은 국민연금을 60세 이후에도 계속 납부를 해야 할지, 아니면 저축 또는 우량주에 투자하는 것이 더 나을지를 고민하시는 분들을 위한 정보를 정리해 드립니다. 60세를 맞이하여 국민연금 납부가 끝나신 분들이나 노후 준비가 궁금한 분들께 도움이될 거예요!

 

✅ 먼저, 국민연금 임의 계속가입이란?

 

60세 이후에도 국민연금을 더 낼 수 있는 제도 입니다. 국민연금은 원래 만 60세까지 납부하는 게 기본이지만, 원한다면 65세까지 자발적으로 더 낼 수 있어요. 👉 이를 '임의 계속가입자"라고 부릅니다.

 

💡 임의 계속가입 조건

 

조건 내용
대상 만 60세 이상 만 65세 미만
소득 유무 상관 없음 (자발적 가입 가능)

 

납입 기준

  • 소득 無: 9만원 ~ 약 55만원 사이 선택 납부
  • 소득 有: 월 소득의 9% 전액 납부

| 예 : 소득 350만원이라면 보험료 약 31.5만원 납부

🧮 그럼 계속가입하면 얼마를 더 받을까?

  • 월 30만원씩 3년간 납부 → 총 약 1,080만원 납부
  • 연금 수령액 증가: 보통 10만원 전후 (월 기준)
  • 90세까지 생존 가정 시 → 10만원 x 12개월 x 30년ㅌ = 3,600만원 수령

👉 국민연금 추가 납입으로 3배 이상의 수익률 효과 기대 가능

🔍 비교: 우량주 투자와 뭐가 다를까?

항목 국민연금 계속가입 우량주 투자
수익 확정성 ✅ 고정 연금 수령 ❌ 미래 예측 불가
활용도 ❌ 중도 인출 불가 ✅ 언제든 현금화 가능
안정성 ✅ 국가가 보장 ❌ 시장 위험 존재
세금 혜택 ✅ 일정 요건 시 기초연금 연계 ❌ 없음
유동성 낮음 높음

 

👉 국민연금은 '안정성과 평생지급'이라는 강력한 장점이 있지만
👉 우량주 투자는 언제든 활용 가능하고 유동성이 좋습니다.

 

🧠 판단 기준은 딱 3가지!

① 수명 예측

  • 90세 이상까지 살 자신(?) 있다면 → 국민연금이 더 유리
  • 반대로 단기간 자금이 더 필요할 수 있다면 → 우량주 or 예금 활용

② 자금 여유

  • 월 30만원 납입이 부담되지 않는다면 → 연금 계속 납부 추천
  • 현재 지출이 빠듯하다면 → 투자금으로 유연한 운영이 낫습니다.

③ 기초연금 영향 여부

  • 국민연금 수령액이 월 50만원을 초과한다면
    👉 기초연금이 삭감될 수 있습니다!
  • 이 기준선(월 약 54만원)을 고려해 납부금액을 조절해보세요.

☎️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

👉 국민연금공단 1355

전화를 걸어서 "계속가입 신청 예정인데, 보험료를 얼마 내면 연금이 얼마나 늘어나는지 알려달라"고 하면 모의계산을 바로 해줍니다!

 

✅ 마무리 요약

선택지 추천 상황
국민연금 계속가입 안정적인 노후 수입이 필요할 때

 

  • 장수 가능성 고려
  • 여유 자금 존재 시
  • 기초연금 수령액 고려 필요
  • 유동성이 더 중요한 경우
  • 수익률 기대가 높을 때
  • 중도 인출이 필요할 수 있는 경우 

국민연금은 평생 보장형이기 때문에 노후 수명을 길게 잡고 안정성을 우선시한다면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투자 여력과 상황에 맞게 직접 운용 자산도 매력적일 수 있기 때문에, 본인의 재정상태와 목적에 맞게 조합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반응형